"초고령화 사회진입을 앞둔 대한민국, 장례문화사업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중요성은?"
초고령화 사회진입을 앞둔 대한민국, 장례문화사업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중요성은?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를 맞이하였고, 2025년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이러한 초고령사회 진입과 더불어 죽음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관심이 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장례문화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그 나라의 문화 중에서 가장 그 사회의 정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은 장례문화라고 볼 수 있는데, 장례문화는 그 사회의 오랜 전통과 의례, 그리고 죽음관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건양대학교 웰다잉 융합연구소(소장 병원경영학과 김광환 교수, 공동연구원(송현동, 김두리, 장경희)는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사회복지사, 보건 의료인, 상담사, 웰다잉 전문가 등 웰에이징 교육 전문가 44명을 대상으로 장례문화사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시 필요한 교육내용과 중요성에 대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조사기간: 22년10월~ 23년1월) 조사결과 남성 응답률(65.9%)이 여성 응답률(34.1%)보다 높았으며, 연령은 50대·60대, 40대·30대 순으로 높았다. 해당 분야 경력 기간은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가장 중요한 교육은 ‘죽음 준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장례문화사업 교육 시 항목별 중요도를 확인 결과 ‘죽음준비 교육(4.4점, 100점 평균 84.1점)’의 중요도가 가장 높고, ‘장례절차 및 행정(3.8점, 100점 평균 70.5점)’의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례문화사업 교육 시 각 항목별 스스로의 지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한국인의 죽음관(4.0점, 100점 평균 76.1점)’의 지식 정도가 가장 높고, ‘호스피스·완화의료(3.5점, 100점 평균 63.6점)’의 지식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항목별 IPA 분석 결과는 장례문화사업에서 ‘장례절차 및 행정’은 중요도와 지식정도가 모두 낮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상실치유’는 중요도에 비해 지식정도가 낮아 중점개선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가장 중요한 교수학습 활동 구성 요소는 ‘교육내용’
가장 중요한 교수학습 활동 구성 요소는‘교육내용(52.3%)’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교육방법 및 형태(22.7%)‘,’교육장소(15.9%)‘, ’교육시간 및 장소(9.1%)순이었다. 이는 웰에이징 장례문화사업 교육내용과 강사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웰에이징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이 교육내용과 실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강의+체험’
장례문화사업 교육 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교육 방법은 ‘강의+체험(54.5%)의 응답 비육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현장 강의(29.5%), ‘교육자료 배부(6.8%)’순이었다. 온라인 교육 보다는 현장 강의와 체험을 강화해야 한다. 웰에이징 관련 장레문화사업은 죽음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부분으로 체험을 동반한 강의가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웰에이징 장례문화사업 교육은 전 생애 과정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장례문화사업 교육이 필요한 시기는 ‘장년기(54.5%)’,‘성인기(47.7%)’,‘중년기(45.5%)’순으로 노년기(34.1%)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장례문화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은 주로 노년기에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다르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죽음문화와 관련된 교육은 생애주기별 평생교육의 전 생애주기 과정에서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출처: 한국공공정책신문_초고령화 사회진입을 앞둔 대한민국, 장례문화사업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중요성은?
2023-05-22
208
최고관리자